본문 바로가기

C언어

2. C언어 자료형

C언어 변수 및 자료형

C언어에서 숫자 또는 문자를 저장하기 위해선 변수가 필요합니다.

하지만 변수를 만들기 전에 해당 변수가 어떤 데이터를 저장하는지 컴퓨터에게 알려주어야 하는데, 이 때 사용되는것이 자료형입니다.

C언어 자료형의 종류

정수형

자료형 이름 크기(byte) 최댓값 ~ 최솟값
short 2 -32768 ~ 32767
int 4 -21억 ~ 21억
long 4 -21억 ~ 21억
long long 8 -8 * 10^18 ~ 8*10^18

일반적으로는 정수를 표현할 때에는 int형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, 21억 이상의 큰 수 또는 -21억 이하의 아주 작은 수를 표현할 때는 long long형을 사용합니다.

실수

자료형 이름 크기(byte) 최댓값 ~ 최솟값
float 4 -
double 8 -

일반적으로는 double을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.

float형식의 경우 10^-6까지 출력되고, double은 그보다 작은 소수점 자릿수 까지 출력됩니다.

문자

자료형 이름 크기(byte) 최댓값 ~ 최솟값
char 1 -128 ~ 127

문자는 문자 한 자를 뜻한다. (ex) 'A' / 'C' / 'F'와 같은 길이가 1인 글자를 말한다)
또한, C언어에서 문자는 아스키코드표의 숫자로 저장됩니다.

char c = 'A';
printf("%d \n", c);
출력
65

변수의 선언

변수를 선언할 때는

[자료형 이름] [변수 이름];

위와 같은 형식으로 변수를 선언할 수 있습니다.

// 변수 선언의 예

int num;    // [자료형 이름 : int] [변수 이름 : num]

int number; // int형 변수, 변수 이름 : number
char ch;    // char형 변수
double real_number // double형 변수, 실수를 저장할 수 있다.

number = 3; // int형 변수에 정수 3을 넣었다.
ch = 'C'    // char형 변수에 문자 'C'를 넣었다.
real_number = number / 2;
// double형 변수에 3(number)에 2를 나눈 값인 1.5를 대입하였다.

'C언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3. C언어 출력(printf)  (0) 2019.10.07
1. C언어의 구성  (0) 2019.10.07